<웨스트이촌 블루스West Ichon Blues>

박 현호
Hyun-Ho, Park

서울시 용산구 서부이촌동과 그 주변은 10년 전까지 재개발 투자가 많았던 동네다. 그러나 2007년 서울시의 ‘용산 국제 업무지구’ 사업으로 동네는 재개발이 아닌, 강제철거 위기에 처하면서 여러 사건이 일어난다. 주민들은 재산권과 생존권을 위해서 투쟁했고, 서울시와 기타 관계자들은 각자의 이익에 맞게 동네를 통폐합시키려 했다. 그러는 동안 재개발구역은 풀과 잔디가 무성한 녹슨 폐허가 되기 시작하였다. 2013년 통합개발계획이 자체적으로 좌초되면서 동네는 조용해졌지만, 다시금 재개발의 바람도 불지 않았다. 그사이 용산 포차촌 등 주변지역은 재건축을 위해 붕괴되기 시작하였다. 반면, 이촌동은 개선사업을 명목으로 재건축관련 문구가 모두 덮여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동네 속 여러 '공사 중'의 과도기적 모습은 그대로 멈추어져서 마치 그 과정 자체를 서울시 한복판에서 전시하듯 보인다.

개발이 유예된 마을의 주민들은 스스로 집을 보수하고 개조해나가기 시작한다. 각자의 생활에 맞게, 새로운 것이 없는 거리에 버려진 공사자재들로 자신들의 집을 단장하기 시작한다. 동네는 주민들에 의해 임시적으로 수정되고, 고쳐져 간다.

나는 재탄생을 유예 받은 동네 풍경과 동네를 구성하는 자재들에 관심을 갖는다. 이것들을 사진으로 촬영하고 수집 및 글로써 기록한다. 또한 사람들과의 에피소드를 비유적으로 제시한다. 따라서 작품들은 주로 주워온 오브제를 움직이는 방식, 늘어놓는 방식, 그리고 4년간 동네풍경을 담은 사진과 영상으로 구성된다.

주워온 폐자재들이 지속적으로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도록 만드는 행위는 파괴가 유예된 동네의 분위기와 그 속에서 분투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표현한다. 또 철거와 관련된 물품들을 가져와 있는 그대로 늘어놓음으로서 완결된 형태가 아닌 임시적인 상태로서 전시한다. 이것은 곧 사라질 것에 대비하여 옮겨갈 준비를 하고 있는 개발구역과 천막촌의 장소적 상황과 성격을 일부 암시한다.

오브제를 주워와 나열하거나, 혹은 나름대로 개조하여 공간속에 배치하는 방식은 생활을 위하여 ‘줍고 개조하는 행위’를 반복하던 동네사람들의 행위를 반영시킨 것이며, 또한 선택된 오브제들은 개발촌의 인상을 함축적으로 제시하는 것으로, 전시 후 다시 재활용되기 위하여 고정적이지 않은 상태로 존재한다. 작품을 구성하는 대부분의 것들은 임시적으로 설치되었다가 전시가 끝나고 다시 거리로 돌아간다.

나는 이러한 행위들을 통하여 동네에 대한 근 4년간의 변화와 상황들을, 동네에 의하여 형성된 사람들의 생활상, 서울 한복판에서 일어난 기대와 좌절들, 소소한 이야기들을 함께 엮어 함축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Ichon-dong and its surroundings in western Yongsan-gu, Seoul, are neighborhoods where redevelopment investment was high until 10 years ago. However, in 2007, due to the Yongsan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project of Seoul, various incidents occurred as the neighborhood was on the verge of forced demolition, not redevelopment. Residents fought for property rights and the right to survive, a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other officials tried to consolidate the neighborhood in their own interests. Meanwhile, the redevelopment area began to become rusty ruins with lush grass and grass. In 2013, when the integrated development plan was stranded on its own, the neighborhood became quiet, but there was no wind of redevelopment again. In the meantime, surrounding areas such as Yongsan Pocha Village began to collapse for re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Ichon-dong is covered with all reconstruction-related phrases in the name of improvement projects. As a result, the transitional appearance of various "under construction" in the neighborhood has stopped as it is, and the process itself seems to be displayed in the middle of Seoul.
Residents of villages whose development has been suspended begin to repair and renovate their homes on their own. To suit each person's life, they begin to refurbish their homes with abandoned construction materials on the streets where there is nothing new. The neighborhood is temporarily modified and fixed by the residents.
I am interested in the local landscape that has been suspended from rebirth and the materials that make up the neighborhood. Take pictures of them, collect them, and record them in writing. It also presents episodes with people figuratively. Therefore, the works are mainly composed of photos and videos of the local scenery for four years, such as moving objects picked up, hanging them, and hanging them.
The act of making the collected waste materials move or make sounds continuously expresses the atmosphere of the neighborhood where destruction has been suspended and the appearance of people struggling in it. In addition, items related to demolition are brought as they are and displayed in a temporary state, not in a completed form. This partially implies the location and nature of development zones and tent villages preparing to move in preparation for disappearance soon.
The method of picking up and listing objects or remodeling them in space reflects the behavior of local people who repeatedly picked up and remodeled them for life, and the selected objects imply the impression of the development village and exist in a non-fixed state to be recycled after exhibition. Most of the things that make up the work are temporarily installed and then returned to the street after the exhibition.
Through these ac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the changes and situations of the neighborhood over the past four years, the lives of people formed by the neighborhood, the expectations and frustrations that occurred in the middle of Seoul, and small stories together.